일상의 작은 기적/암을 넘어, 살아가다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희망, ‘Pro@FLNC’ 나노기술 등장!

사만줌 2025. 3. 24. 18:12
728x90
반응형
전남대 박인규 교수팀, 차세대 광역학·면역치료 융합기술로 주목

유방암은 한국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조기 진단과 더불어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박인규 교수 연구팀광주과학기술원(GIST)전남대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기존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유방암 치료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방암 나노기술
프로드럭 기반 나노조절제(Pro@FLNC) 작용기전 모식도(출처 의학신문)

차세대 유방암 치료 전략, 나노조절제 ‘Pro@FLNC’란?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프로드럭(Prodrug) 기반 나노조절제 Pro@FLNC’로, 기존 광역학 치료(PDT)의 한계를 극복하고 면역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항암 전략입니다. Pro@FLNC는 종양 내부의 산화-환원 균형을 무너뜨려, 두 가지 중요한 세포사멸 메커니즘을 유도합니다.

  • 디설피드토시스(disulfidptosis): 종양세포의 골격 구조를 붕괴시키는 새로운 세포사멸 방식
  • 면역원성 파이롭토시스(pyroptosis): 강력한 염증 반응을 동반해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세포사멸 메커니즘

이는 단순한 암세포 파괴를 넘어, 면역계 전체를 활성화하여 1차 종양은 물론 전이 암까지 공격할 수 있는 치료 효과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LNC의 작용 원리

기존 광역학 치료는 암세포 선택적 파괴라는 장점이 있지만, 종양의 높은 항산화 능력저산소 환경으로 인해 제한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박 교수팀은 우르솔릭산(UA)과 클로린 e6(Ce6)을 결합한 프로드럭 기반 나노제형(Pro@FLNC)을 설계했습니다. Pro@FLNC는 종양 내에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유도합니다:

  1. 글루타치온(GSH) 고갈 → 산화 스트레스 유발
  2. SLC7A11 단백질 과발현 → 세포골격 붕괴 유도 (디설피드토시스)
  3. 활성산소종(ROS) 증가 → 면역원성 파이롭토시스 촉진
  4. 종양 항원 노출 → CD8+ T세포 활성화 및 침투 증가
  5. 면역억제 세포 감소 → 종양 미세환경(TME) 변화

이처럼 다단계 면역 반응 유도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며, 지속적이고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합니다.

유방암을 넘어, 다양한 고형암으로의 확장성

Pro@FLNC의 핵심 기술은 유방암 치료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연구팀은 대장암, 폐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도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발전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향후 다양한 암 종에 대한 맞춤형 치료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가치도 매우 높습니다.

연구 성과 및 향후 상용화 계획

이 연구는 국제적 권위 학술지인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Programable Prodrug Nanomodulator..."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습니다. (피인용지수 10.0, JCR 상위 4.7%) 또한 해당 기술은 전남대학교 교원 창업벤처인 ㈜디알큐어(DRCure)를 통해 실제 항암 치료제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외 바이오 시장에서의 높은 파급력이 기대됩니다. 박인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항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결과”라며 “차세대 항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유방암 환자를 위한 보조 및 대체 치료법: 항암 중과 항암 후 건강 관리

유방암 치료 여정과 보조 치료의 역할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환자들은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등 표준 치료법을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이러한 전통적 치

ihshappy.tistory.com

 

 

항체-약물 접합체(ADC) 치료제의 혁신: 엔허투가 여는 유방암 치료의 새 시대

ADC 치료제의 등장과 의의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치료제는 현대 암 치료의 혁신적인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이이치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 개발한 엔허투(성분

ihshappy.tistory.com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