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건강은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특히 야간이나 휴일에 아이가 갑자기 아프다면, 신속하게 믿을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제도를 운영하며, 24시간 소아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의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이란?
서울시는 소아 환자들이 언제든지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3단계 의료기관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우리아이 안심의원(1차): 평일 야간(19시~21시 또는 22시)까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의원입니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 우리아이 안심병원(2차): 소아 환자가 야간·휴일 등 24시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입니다.
- 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3차): 중증·응급 소아 환자가 24시간 적정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소아 전문 응급의료센터입니다.
이러한 체계는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통해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고, 중증 응급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골든타임'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목록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차: 우리아이 안심의원
- 아이들소아청소년과의원: 성동구 고산자로 234, 4층 (행당동), 전화번호: 02-2298-0144
- 연세성심의원: 강동구 양재대로 1571, 홈플러스 지하1층(천호동), 전화번호: 02-476-2211
참고: 위 정보는 2024년 9월 기준이며,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2차: 우리아이 안심병원
- 서울의료원: 중랑구 신내로 156, 대표 전화번호: 02-2276-7000, 응급실: 02-2276-7041
- 한양대병원: 성동구 왕십리로 222-1, 대표 전화번호: 02-2290-8114, 응급실: 02-2290-9817
- 서울성모병원: 서초구 반포대로 222, 대표 전화번호: 1588-1511, 응급실: 02-2258-2020
- 삼성서울병원: 강남구 일원로 81, 대표 전화번호: 1599-3114, 응급실: 02-3410-2053
- 은평성모병원: 은평구 통일로 1021, 대표 전화번호: 1811-7755, 응급실: 02-2030-3646
- 순천향대서울병원: 용산구 대사관로 59, 대표 전화번호: 02-709-9114, 응급실: 02-709-9117
- 중앙대병원: 동작구 흑석로 102, 대표 전화번호: 1800-1114, 응급실: 02-6299-2937
- 보라매병원: 동작구 보라매로5길 20, 대표 전화번호: 02-870-2114, 응급실: 02-870-3119
참고: 위 정보는 2024년 9월 기준이며,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3차: 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
-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대학로 101, 대표 전화번호: 02-2072-0505, 응급실: 02-2072-0505
- 세브란스병원: 서대문구 연세로 50, 대표 전화번호: 1599-1004, 응급실: 02-2228-5800
- 아산병원: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대표 전화번호: 1688-7575, 응급실: 02-3010-5001
참고: 위 정보는 2024년 9월 기준이며,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이용 시 유의사항
- 사전 확인: 방문 전 해당 의료기관의 운영 시간과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부 의료기관은 상황에 따라 운영 시간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응급 상황 판단: 경증 질환은 1차 안심의원이나 2차 안심병원을 이용하시고, 중증 응급 상황 시에는 3차 전문응급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관 연락처 활용: 의료기관에 직접 연락하여 현재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서울시의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제도는 부모님들이 야간이나 휴일에도 안심하고 아이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든든한 파트너입니다. 위에 소개된 의료기관 정보를 참고하여, 필요 시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서울시는 언제나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신생아 특례 버팀목대출 및 디딤돌대출: 출산 가정을 위한 주거 지원 혜택
최근 주택도시기금은 신생아를 출산한 가정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신생아 특례 버팀목대출과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대출 상품은 출산 가정의 전세자금 및 주
ihshappy.tistory.com
'하루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광화문광장 서포터즈, 도시의 미래를 그리다! (59) | 2025.03.05 |
---|---|
서울시의 혁신적인 전기차 충전 솔루션: AI 로봇 '서울 보이' 도입 (83) | 2025.03.04 |
2025 자립준비청년 매입임대주택: 안정적인 미래를 위한 주거 지원 (13) | 2025.03.04 |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 청년과 기업이 함께하는 취업 성공의 기회! (17) | 2025.03.04 |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완벽 가이드: 절차, 방법, 주의사항 총정리 (3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