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K4/6 억제제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HR+)/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의 핵심 약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표적으로 입랜스(팔보시클립), 키스칼리(리보시클립), 버제니오(아베마시클립)가 있으며, 이들은 암세포의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CDK4/6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환자들이 CDK4/6 억제제에 내성을 보이게 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DK4/6 억제제 내성의 원인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최신 연구 및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CDK4/6 억제제 내성의 주요 원인CDK4/6 억제제에 대한 내성은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RB1 유전자 변이CDK4/6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