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한 푼

증여세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실수 사례와 대책

사만줌 2025. 2. 5. 22:25
728x90
반응형

증여세 신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증여세 신고는 복잡한 규정과 절차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국세청에서 공개한 자주 발생하는 실수 사례를 통해 증여세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 신고 시 실수 사례

1.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적용 시기 오류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는 적용 시기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 2023년 12월에 증여받은 재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혼인일은 결혼식 날짜가 아닌 혼인신고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2. 채무면제에 대한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적용 오류

채무면제로 인한 이익은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 부모님에게 빌린 돈을 면제받는 경우,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 저가 또는 고가 매매, 무이자 대출 등으로 인한 이익도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3. 부동산 증여 시기 오인

부동산 증여 시 증여시기는 증여계약일이 아닌 증여등기 접수일입니다.

  • 증여등기 접수일을 기준으로 3개월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증여시기에 따라 재산 평가액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10년 이내 증여재산 합산 누락

동일인으로부터 10년 이내에 받은 증여재산가액을 합산해야 합니다.

  • 합산 대상 금액이 1천만원 이상인 경우 반드시 합산해야 합니다.
  • 부모는 동일인으로 간주되므로 부모 모두로부터 받은 증여를 합산해야 합니다.

5. 유사 재산 가액 적용 오류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 평가 시 유사 재산의 매매사례가액을 적용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동주택의 경우 동일 단지, 전용면적 차이 5% 이내, 공동주택가격 차이 5% 이내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유사 재산의 매매사례가액은 증여일 전후 일정 기간 내의 것이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 시 주요 체크포인트

  1.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적용 가능 여부 확인
  2. 증여재산의 종류에 따른 증여시기 정확히 파악
  3. 10년 이내 동일인으로부터의 증여재산 합산 여부 확인
  4. 증여재산 평가 시 적절한 유사 재산 선정

결론

증여세 신고는 복잡한 규정과 다양한 고려사항으로 인해 실수하기 쉽습니다. 위의 주의사항들을 꼼꼼히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확한 신고를 통해 불필요한 가산세 부과를 피하고, 합법적으로 세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상속·증여 세금상식Ⅱ.pdf
2.05MB

반응형
BIG